BJ 잼미, 극단 선택→청와대 청원.."모녀살인범 처벌하라" [엑's 이슈]

최희재 기자 입력 2022. 2. 6. 16: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BJ 잼미(본명 조장미)가 세상을 떠난 가운데, 청와대 청원이 올라왔다.

BJ 잼미는 지난달 말,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크게 문제될 게 없어보이는 상황이었지만 아님 말고 식의 '논란'이 계속되자 잼미가 여러 차례 해명했다.

이런 가운데 잼미의 어머니는 2020년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최희재 기자) BJ 잼미(본명 조장미)가 세상을 떠난 가운데, 청와대 청원이 올라왔다.

BJ 잼미는 지난달 말,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5일 고(故) 잼미의 트위치 커뮤니티에는 '안녕하세요. 잼미 삼촌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잼미의 삼촌이라고 밝힌 글쓴이는 "그동안 경황이 없어 알려드리지 못했지만, 장미는 스스로 세상을 떠났다'고 밝혀 충격을 안겼다.

이어 "많은 팬분들과 응원해 주신 분들께 슬픈 말씀드리게 되어 유감스럽다. 장미는 그동안 수많은 악플들과 루머 때문에 우울증을 심각하게 앓았었고 그것이 원인이 되었다"고 덧붙였다. 글쓴이는 '악플들과 루머 때문에 우울증을 심각하게 앓았다'는 내용을 볼드 처리해 이를 강조했다.

고 잼미는 2019년 인터넷 방송을 시작해 십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BJ 겸 스트리머다. 그러나 일부 유튜버와 커뮤니티 등에서 잼미의 제스처와 언행을 문제 삼기 시작했다. 문제 삼은 내용은 잼미가 방송 중 손가락 집게 모양 제스처를 취했다는 것, 커뮤니티 유행어를 썼다는 것 등이었다.


크게 문제될 게 없어보이는 상황이었지만 아님 말고 식의 '논란'이 계속되자 잼미가 여러 차례 해명했다. 소위 '렉카 유튜버'라고 불리는 유튜버들의 괴롭힘은 계속됐고, 일부 누리꾼들은 그 흐름을 신나게 따라갔다. 유튜브 댓글은 물론 커뮤니티에서도 잼미를 향한 도 넘은 악성 댓글과 성희롱성 발언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런 가운데 잼미의 어머니는 2020년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났다. 당시 잼미는 방송을 통해 어머니의 죽음을 자신의 책임으로 떠넘기며 방송을 잠정 중단하기도 했다.

어머니의 사망 소식을 알리자 몇몇 유튜버들은 잼미를 향했던 비난 영상을 삭제하거나 비공개하며 모른 척을 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깐이었다. 이들은 또다시 악플을 달고, 의도가 담긴 영상을 만들었다.

악플로 인해 모녀가 세상을 떠났다. 이에 앞장서서 논란을 이끌었던 유튜버 뻑가는 '잼미님 관련 영상입니다'라는 영상을 올리며 이제서야 사과한다고 했다. 관련 영상 또한 모두 내렸다. 그러나 고인의 사망 소식 이후에도 일부 사이트에서는 고인 모독글이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다.


한편, 5일 오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모녀살인범 유튜버사망사건)'이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유튜버를 극단적 선택하게 만든 일부 남초 사이트와 유튜버에 대한 강력 처벌을 원한다고 적었다.

현재 해당 청원은 6일 오후 1시 기준 5만 1천여 명이 동의한 상태다. 같은날 오전 11시에 청원인은 3만 여명이었으나 약 3시간 만에 2만 명이 더 동의했다. 누리꾼들은 추모 댓글과 함께 "크게 알려져서 처벌 받았으면 좋겠다", "손가락 살인", "그 제스처가 뭐라고 난리를 치더니", "이렇게 조용한 게 말이 돼?" 등의 반응을 보였다.

렉카 유튜버들의 '의혹 제기'는 주로 여성 유명인들이 타깃이 된다. 확인되지 않은 루머 확산부터 외모 평가, 성희롱, 사생활 등등이 '콘텐츠'로 소비된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익명과 플랫폼 뒤에 숨어있기에 처벌이 어려운 현실이다.

억지 논란, 루머 유포가 재생산되고 있는 시점, 목숨을 잃고 나서야 '반성한다'는 말에는 얼마의 진심이 담겼을까. 망자는 이제 그 작은 사과를 받아줄 수도 없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진=잼미 인스타그램, 청와대 국민청원 캡처

최희재 기자 jupiter@xportsnews.com

Copyright © 엑스포츠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