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칼럼-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타자에 대한 감수성 요구하는 사회

2017. 9. 12. 11: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실 대중문화만큼 대중들의 달라진 감성과 생각을 즉각적으로 드러내는 분야도 없다.

비슷한 소재와 주제를 가진 콘텐츠라고 해도 과거와 현재의 반응들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우리는 쉽게 대중들의 감성이나 생각에 변화가 있다는 걸 짐작할 수 있다.

그 일련의 사안들이 말해주는 건 타자에 대한 남다른 감수성을 요구하게 된 대중들의 정서변화다.

타자 감수성에 대한 요구가 느껴지는 두 번째 사례는 영화 <청년경찰> 이 중국인 동포를 비하했다며 불거진 논란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실 대중문화만큼 대중들의 달라진 감성과 생각을 즉각적으로 드러내는 분야도 없다. 비슷한 소재와 주제를 가진 콘텐츠라고 해도 과거와 현재의 반응들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우리는 쉽게 대중들의 감성이나 생각에 변화가 있다는 걸 짐작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벌어진 몇 가지 사안들이 눈에 띈다. 그 일련의 사안들이 말해주는 건 타자에 대한 남다른 감수성을 요구하게 된 대중들의 정서변화다.

그 첫 번째는 영화 <브이아이피>가 휘말린 여혐논란이다. 북에서 내려온 싸이코패스 VIP를 두고 벌어지는 추격전이, 한국과 미국 그리고 북한의 복잡 미묘한 관계로 얽히는 독특한 누아르 장르의 영화다. 그런데 영화 속 싸이코패스 VIP가 여성들을 강간 고문 살해하는 장면이 지나치게 과도했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여혐논란이 불거졌다. 결국 박훈정 감독은 이에 대해 사과하며 자신의 ‘젠더 감수성’이 부족했음을 인정했다. 흥미로운 건 박훈정 감독이 과거 대본을 쓴 2010년 작 <악마를 보았다>에서도 잔인하게 고문 살해당하는 여성 피해자가 등장했었다는 점이다. 결국 7년 전에는 별 논란 없이 지나쳤던 젠더 문제들이 지금은 불거져 나왔다는 것. 이것은 <브이아이피>가 더 과해서 생겨난 논란이 아니라, 이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감수성이 달라졌다는 걸 의미한다. 지금의 대중들은 특히 타자에 대해 배려하는 감수성을 요구하고 있다.

타자 감수성에 대한 요구가 느껴지는 두 번째 사례는 영화 <청년경찰>이 중국인 동포를 비하했다며 불거진 논란이다. 사실 중국인 동포가 이렇게 영화 등에서 왜곡된 시각으로 그려져 온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0년 개봉한 <황해>가 그랬고, 2015년 개봉했던 <차이나타운>이 그랬다. 하지만 그 때는 그렇게 큰 문제로 비화되지 않던 것이 이번에는 꽤 큼직한 논란으로 이어졌다. 중국인 동포들은 그간 쌓여온 자신들에게 대한 왜곡된 시선들을 더 이상은 간과하지 못하겠다고 밝혔다.

세 번째 사례는 드라마 <병원선>에 불거진 간호사 비하 논란이다. 병원선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의료 활동을 벌이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이 드라마에서 간호사들이 너무 부수적인 존재로 그려지고 짧은 치마를 입고 나오는 등 직업 자체에 대한 비하적 시선이 있다는 데서 빚어진 논란이다. 물론 이런 장면들도 과거 의학드라마에서 숱하게 나왔던 것들이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논란은 의외로 그 파장이 컸다.

최근 대중문화에서 벌어진 이 사건들이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건 타자에 대한 배려 없는 시선에 대해 과거에는 별 문제시되지 않던 것들이 지금은 굉장한 문제로 비화 되었다는 점이다. 그것은 물론 과거에는 소수자들이었던 타자들이 이제 한 목소리를 냄으로써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미디어의 시대에 들어와서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대중들이 타자에 대한 좀 더 세심한 배려를 요구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실 최근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이념이나 세대 갈등 나아가 인종, 젠더 갈등 같은 것들의 기저에서 결국 맞닥뜨리는 것이 타자에 대한 감수성 부족이다. 어쩌면 그들은 누군가를 혐오하기보다는 타자가 느낄 상처와 아픔을 미처 못 느꼈을 수 있다. 그래서 타자에 대한 감수성은 우리 사회가 가진 많은 갈등들을 해결해줄 수 있는 의외의 해법이 되어줄 수도 있을 것이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